에드가 드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가 드가는 1834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화가로, 인상주의 화가로 분류되지만 고전주의, 사실주의,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발레 무용수와 경주마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무용의 화가'로 불린다. 드가는 초기에는 역사화를 그렸으나, 점차 현대적인 소재와 인물에 집중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다. 그는 1870년대부터 발레와 경마를 주제로 한 작품에 몰두했으며, 말년에는 시력 저하로 조각에 집중했다. 드가는 생전에 여성 혐오와 반유대주의적인 성향을 보였으며, 이는 그의 작품과 삶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발레 수업》, 《오페라의 오케스트라》, 《14세의 어린 무용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티계 프랑스인 -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사생아로 태어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고찰을 작품에 담았으며, 『춘희』의 성공으로 프랑스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이다. - 아이티계 프랑스인 - 알렉상드르 뒤마
알렉상드르 뒤마는 《삼총사》, 《몽테크리스토 백작》 등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아프리카계 혈통으로 인종차별에 맞섰으며 팡테옹에 안장될 정도로 프랑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반유대주의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무정부주의자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고 노동자 협동조합에 기반한 자유로운 사회를 옹호했으며, 반유대주의와 여성 차별적인 견해로 비판받았다. - 프랑스의 반유대주의 - 조르주 소렐
조르주 소렐은 프랑스의 사상가로,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며 신화와 직접 행동을 통한 자본주의 전복을 주장했고, 파시즘과 볼셰비즘에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아나코생디칼리즘과 파시즘에 영향을 미쳤다. - 인상주의 화가 - 클로드 모네
클로드 모네는 프랑스 화가이자 인상주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빛의 변화에 따른 풍경의 인상을 포착하는 데 주력하여 《수련》, 《건초더미》, 《루앙 대성당》 등의 연작을 남겼다. - 인상주의 화가 - 에두아르 마네
에두아르 마네는 1832년 파리에서 태어나 아카데미즘 회화에 반기를 들고 사실주의 화풍을 시도했으며, 《풀밭 위의 점심 식사》와 《올랭피아》 등의 작품으로 논란을 일으키며 근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화가이다.
에드가 드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일레르 제르맹 에드가르 드 가 |
출생일 | 1834년 7월 19일 |
출생지 | 프랑스 파리 |
사망일 | 1917년 9월 27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국적 | 프랑스 |
분야 | 회화, 조각, 소묘 |
사조 | 인상주의 |
작품 | |
대표작 | 벨리 가족 (1858–1867) 발레 수업 (1871–1874) 압생트 (1875–1876) 욕조 (1886) |
영향 | |
영향을 준 작가 | 메리 카사트 장 루이 포랭 월터 시커트 앙리 드 툴루즈로트레크 |
기타 | |
![]() |
2. 생애
에드가 드가는 1834년 프랑스 파리의 부유한 은행가 집안에서 태어났다.[8][106] 그의 어머니는 미국 뉴올리언스 출신의 크리올 여성이었다.[8]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소질을 보였던 그는 루이 르 그랑 중등학교를 졸업한 후 아버지의 뜻에 따라 파리 대학교 법학부에 진학했으나, 곧 학업을 포기하고 화가의 길을 선택했다. 1855년 에콜 데 보자르에 입학하여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제자인 루이 라모트에게 그림을 배웠고[14][106], 루브르 박물관에서 거장들의 작품을 모사하며 실력을 키웠다.[106] 1856년부터 약 3년간 이탈리아에 머물며 르네상스 거장들의 작품을 연구했다.[15][106]
초기에는 역사화를 그리며 살롱에 출품했으나[16][18], 1860년대 중반 에두아르 마네와의 만남[19] 등을 계기로 점차 발레 무용수나 경주마와 같은 현대 도시 생활의 모습으로 관심을 옮겨갔다.[107]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 참전했을 때 시력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했고, 이 시력 문제는 평생 그를 괴롭혔다.[20] 1872년에는 어머니의 고향인 뉴올리언스를 방문하여 그곳의 풍경과 가족들을 그리기도 했다.[21][22]
1874년 아버지의 사망 후 집안의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23], 드가는 작품 판매에 더 의존하게 되었다. 이 시기부터 그는 인상주의 화가들이 주최한 독립 전시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조직을 도왔다.[4] 총 8번의 인상파 전시회 중 7번이나 참여했지만[93], 야외 사생을 중시했던 클로드 모네 등 다른 인상파 화가들과는 달리 실내 작업을 선호했으며, 고전적인 데생을 중시하는 자신만의 화풍을 고수했다.[103] 스스로를 '현대 생활의 고전 화가'로 여겼으며[105], '인상파'라는 명칭 자체에도 거부감을 보였다.[4]
1870년대 이후 드가는 발레 무용수들의 연습 장면이나 무대 뒤 모습, 경마장의 풍경 등 특정 주제에 몰두했다.[107] 특히 오페라 극장의 정기 회원으로서 무용수들의 일상을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그릴 수 있었다.[96] 말년에는 시력이 더욱 악화되면서 회화보다는 파스텔이나 조각 작업에 집중했다.[31][32] 또한 1880년대 후반에는 사진 기술에도 관심을 보여 친구들의 초상이나 작품 구상을 위한 자료 사진을 남기기도 했다.[26][27]
어린 시절 어머니의 외도와 불륜을 목격한 상처로 인해 여성을 혐오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는 분석이 있다. 그는 까다롭고 냉소적인 성격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드레퓌스 사건 당시 반유대주의적 입장을 고수하여 많은 친구들과 관계를 끊기도 했다.[29][30] 말년에는 거의 시력을 잃은 채 고립된 생활을 하다가 1917년 9월 파리에서 세상을 떠났다.[33]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에드가르 드가(Edgar Degas)는 1834년 프랑스 파리의 비교적 부유한 은행가 가정에서 태어났다.[8][106] 그는 은행가 오귀스탱 드 가와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출신의 크리올 여성 셀레스틴 뮤송 드 가 사이의 다섯 자녀 중 장남이었다.[8] 그의 외조부 제르맹 뮤송은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출신으로 1810년 뉴올리언스에 정착한 프랑스계였다.[9] 드가 가문은 프랑스 혁명 이후 성장한 신흥 부르주아 계층이었으며, 그가 태어날 무렵에는 아주 부유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성인이 되면서 귀족풍의 성 '드가(de Gas)'를 덜 격식적인 '드가(Degas)'로 바꾸었다.[10]
드가는 열한 살에 루이 르 그랑 리세에 입학하여 고전 교육을 받았다.[11] 열세 살에는 어머니를 여의었고, 이후 아버지와 미혼 삼촌들이 그의 성장에 영향을 주었다.[12]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인 그는 1853년 18세에 문학 바칼로레아를 취득하고 리세를 졸업한 뒤, 집 안에 자신의 화실을 마련했다. 졸업 후 루브르 박물관에서 거장들의 그림을 모사하는 허가를 받았으나[106], 아버지의 뜻에 따라 같은 해 11월 파리 대학교 법학부에 등록했다. 하지만 그는 법률학교 공부에는 거의 전념하지 않았다.
1855년, 드가는 자신이 깊이 존경하던 화가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를 만났다. 앵그르는 그에게 "젊은이여, 선을 그리시오, 그리고 생생하게 기억에서 더 많은 선을 그리시오. 그러면 당신은 훌륭한 예술가가 될 것입니다."라는 조언을 남겼고, 드가는 이를 평생 잊지 않았다.[13] 같은 해 4월, 그는 앵그르의 제자인 루이 라모트의 소개로[106] 에콜 데 보자르(국립미술학교)에 입학하여 라모트의 지도를 받으며 앵그르의 화풍을 따랐다.[14]
1856년 7월, 드가는 이탈리아로 떠나 3년간 머물렀다.[106] 이 기간 동안 그는 르네상스 거장들의 작품을 깊이 연구했다. 1858년에는 나폴리에 있는 이모 댁에 머물면서 초기 대표작 중 하나인 《벨리 가족》의 밑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는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티치아노 등의 작품을 모사했지만, 단순히 전체를 베끼기보다는 작품 속 부차적인 인물이나 초상화처럼 다뤄진 머리 등 자신의 관심을 끄는 세부적인 부분에 집중하는 독특한 방식을 보였다.[15] 또한 기를란다요, 만테냐, 니콜라 푸생, 한스 홀바인의 작품들도 학습했다.[106]
2. 2. 초기 경력: 역사화가 지망
프랑스 파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드가는 루이 르 그랑 중등학교를 졸업하고 파리 대학 법학부에 들어갔으나, 학업을 포기하고 화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 1855년에는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제자인 루이 라모트의 소개로 국립미술학교에 입학하여 본격적인 미술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그는 루브르 박물관을 자주 방문하며 거장들의 그림을 모사하고 연구하는 데 몰두했다.1856년부터 약 1년간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르네상스 거장들의 작품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특히 기를란다요와 만테냐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연구했으며, 니콜라 푸생과 한스 홀바인의 그림도 학습했다. 이 시기의 경험은 그의 초기 화풍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859년 프랑스로 돌아온 드가는 살롱 출품을 목표로 대형 회화 작품 제작에 착수했다. 그는 파리에 아틀리에를 마련하고 「벨렐리 가족」의 제작을 시작했으나, 이 작품은 1867년까지 미완성으로 남았다. 동시에 그는 역사화 장르에도 관심을 보이며 여러 작품을 구상하고 제작했다. 이 시기의 주요 역사화 작품은 다음과 같다.[16]
제작 연도 | 작품명 |
---|---|
1859년 ~ 1860년 | 「알렉산더와 부케팔로스」 |
1859년 ~ 1860년 | 「예프타의 딸」 |
1860년 | 「세미라미스가 바빌론을 건설하다」 |
1860년경 | 「젊은 스파르타인들의 훈련」 |
1861년에는 어린 시절 친구인 폴 발팽송을 메닐 위베르 앙 에그즘에서 방문하여 말을 주제로 한 초기 연구작들을 다수 제작했다.[17] 이는 이후 그의 주요 소재 중 하나가 되는 경주마 그림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
1865년 드가는 살롱에 「중세의 전쟁 장면」을 출품하며 공식적으로 데뷔했다. 비록 심사위원들은 작품을 받아들였지만, 대중적인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18] 이후 5년간 꾸준히 살롱에 작품을 출품했지만, 점차 역사화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주제로 관심을 옮겨갔다. 1866년 살롱에 출품한 「장애물 경주 장면: 낙마한 기수」는 이러한 변화를 명확히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러한 예술적 방향 전환에는 1864년에 만난 에두아르 마네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여겨진다. (일화에 따르면 두 사람은 루브르 박물관에서 같은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초상화를 모사하다 만났다고 전해지지만, 이는 확인된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19]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자 드가는 국가근위대에 자원 입대하여 파리 방어전에 참전했다. 전쟁 참여로 인해 작품 활동을 거의 하지 못했으며, 이 시기 사격 훈련 중에 시력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는 이후 그의 삶과 예술 활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강 문제가 되었다.[20]
2. 3. 인상주의와의 관계
드가는 인상주의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지만, 스스로는 사실주의자라고 불리기를 선호했다.[103] 그는 많은 인상주의 화가들과 달리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지 않았으며[103], 인상주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그의 작품에는 고전주의와 사실주의 색채가 강하고 낭만주의의 영향도 나타난다.1862년 에두아르 마네와 알게 된 후 카페 게르부아의 화가 그룹에 참여했으며[93], 마네는 드가의 예술에 영향을 주었다.[19] 드가는 1874년 제1회 전시부터 시작된 인상파 전시회를 조직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총 8번의 전시회 중 1882년 제7회를 제외한 모든 전시회에 참여했다.
하지만 그는 클로드 모네와 같이 야외에서 작업하며 빛의 순간적인 변화를 포착하려 했던 다른 인상파 화가들과는 생각이 달랐다. 야외 작업을 선호하지 않았고[103], 르네상스 거장들이나 자신이 존경했던 도미니크 앵그르의 고전적인 기법을 중시하며 스스로를 '현대 생활의 고전 화가'로 여겼다.[105] 또한, 언론이 만든 '인상파'라는 명칭을 싫어했고, 전시회를 둘러싼 논란이나 홍보 활동에도 비판적이었다.[4]
드가의 보수적인 사회적 태도와[4] 장-루이 포랭과 장-프랑수아 라파엘리 같은 비(非)인상주의 화가들을 전시에 포함시키려는 고집은 그룹 내 갈등을 일으켰고, 이는 1886년 인상파 그룹이 해체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24]
이처럼 다른 인상파 화가들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일본의 우키요에, 특히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은 공통적이다.[94]
2. 4. 중년의 드가: 발레와 경마
1870년대 전반기에 들어서면서 드가는 자신이 선호하는 두 가지 주제, 즉 오페라 극장(특히 발레리나)과 롱샴 경마장의 경주에 본격적으로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107] 이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1870-1871) 참전 이후의 시기이며, 1874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생계를 위해 작품 판매에 더 의존하게 된 시기와도 맞물린다.[23]발레드가는 발레를 주제로 한 작품을 많이 남겼는데, 특히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무용수들의 연습실이나 탈의실 풍경, 무대 뒤의 모습 등을 즐겨 그렸다. 당시 오페라 극장의 무용수들은 '작은 쥐'(Petit rat프랑스어)라 불렸으며, 드가는 이들의 꾸밈없는 일상을 화폭에 담았다. 부유한 은행가 집안 출신이었던 드가는 오페라 극장의 정기 회원 자격을 유지하여 연습실과 탈의실에 자유롭게 출입하며 그곳의 풍경을 직접 관찰하고 그릴 수 있었다.[96] 드가가 활동하던 시기는 낭만 발레 시대였으므로,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발레 풍경은 모두 낭만 발레의 모습이다.[96] 그는 무용수들이 순간적으로 보여주는 무심한 동작을 뛰어난 데생 능력으로 포착해냈다.
경마발레와 더불어 경마 역시 드가가 중년 이후 몰두한 주요 주제였다. 그는 이미 1861년 친구 폴 발팽송을 방문했을 때 말 그림 연구를 시작했고,[17] 1866년 살롱에 출품한 《장애물 경주 장면: 낙마한 기수》는 그가 점차 현대적인 소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었다.[18] 1870년대에 들어 그는 롱샴 경마장을 배경으로 경주마와 기수들의 역동적인 모습을 즐겨 그렸다. 이는 도시의 현대적인 삶과 그 속의 인간 군상에 대한 그의 깊은 관심을 반영한다.
예술적 경향1874년부터 드가는 인상주의 화가들이 조직한 독립 전시회에 참여하기 시작했지만, 빛의 변화를 중시하며 야외 풍경을 주로 그린 클로드 모네와 같은 다른 인상파 화가들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었다.[4] 그는 야외 사생을 선호하지 않았고, 인상주의라는 명칭 자체에도 거부감을 보였다.[4] 드가는 르네상스 거장들과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고전적인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 도시 생활의 단면을 그려내고자 했으며, 스스로를 "현대 생활의 고전 화가"로 여겼다. 동시에 일본의 우키요에, 특히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작품에서도 영향을 받았다.[94]
2. 5. 말년: 시력 악화와 조각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 국가근위대로 참전했을 때 사격 훈련 중 시력에 결함이 발견되었고, 이는 평생 동안 그를 괴롭히는 문제가 되었다.[20] 일부에서는 전쟁 중 추위로 인해 눈을 다쳐 망막 질환을 앓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외출이 어려워져 실내 작업을 선호하게 되었다고 보기도 한다.[93]1880년대 후반, 드가는 사진에도 열정을 보였다.[26] 그는 친구들인 르누아르와 말라르메 등을 등불 아래에서 촬영하기도 했으며, 무용수와 누드를 찍은 사진들은 그의 회화와 파스텔화의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다.[27]
1890년대에 들어서면서 오랫동안 그를 괴롭혔던 시력은 더욱 악화되었다.[31] 이로 인해 드가는 세밀한 묘사가 어려운 회화보다는 파스텔과 조각 작업에 점차 집중하게 되었다. 그는 1907년 말까지 파스텔화를 제작했으며, 1910년까지 조각 작업을 계속한 것으로 추정된다.[32] 특히 말년에는 시력이 크게 저하되어 데생 인형처럼 사용했던 무용수나 말 등을 소재로 한 조각상들을 남겼는데, 이 작품들은 그의 사후 아틀리에에서 발견되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드가는 점차 고립되었다. 그는 화가는 사생활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28], 까다롭고 냉소적인 성격으로 동료들과의 충돌도 잦았다. 특히 드레퓌스 사건 당시 반유대주의적 입장을 고수하며 졸라를 비롯한 유대인 친구들과 관계를 끊었다.[29] 그의 논쟁적인 성격에 대해 르누아르는 "드가는 정말 괴상한 인물이었어! 그의 모든 친구들은 그를 떠나야만 했지. 나는 마지막으로 그를 떠난 사람들 중 하나였지만, 나조차도 끝까지 남을 수 없었어."라고 회고하기도 했다.[30]
1912년, 오랫동안 살았던 빅토르 마세 거리의 집이 철거되면서 클리시 대로로 이사해야 했고, 이 시기를 전후하여 작업을 완전히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32] 그는 결혼하지 않았으며, 말년에는 거의 실명 상태로 파리 거리를 정처 없이 배회하다가 1917년 9월 세상을 떠났다.[33]
3. 화풍
드가는 인상주의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지만, 정작 자신은 사실주의자로 불리기를 선호했으며[103] 인상주의 화가들의 특징인 야외 사생을 하지 않았다. 그는 뛰어난 데생 실력을 바탕으로 움직이는 순간을 포착하는 데 탁월했으며, 특히 발레 무용수나 목욕하는 여성의 누드화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104] 무용수와 목욕하는 여성 외에도 경마, 초상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그의 초상화는 인물의 복잡한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04]
초기에는 역사화가를 지향했으나 30대 초반에 방향을 전환하여, 고전적인 기법을 당대의 근대적인 삶의 모습에 접목시키는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다.[105] 그의 화풍은 고전주의적인 엄격함, 사실주의적인 관찰, 그리고 인상주의적인 색채와 구도 실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옛 거장들에 대한 깊은 존경심과 함께[39] 일본 판화나 당대 삽화가들의 영향[40]도 받아들여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 언어를 만들어냈다.
시간이 흐르면서 드가의 화풍은 변화를 거듭했다. 초기에는 고전적이고 다소 어두운 색조를 사용했지만, 점차 밝고 대담한 색채와 자유로운 붓질을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후기에는 파스텔을 주요 매체로 활용하며[53] 강렬한 색채와 단순화된 형태를 통해 더욱 표현적인 화면을 구성했다.[57][58]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내에서 기억이나 모델을 통해 작업하는 방식,[60] 인물 중심의 주제 선택, 하나의 주제를 여러 변주로 탐구하는 신중하고 계산된 작업 태도[61] 등은 그의 예술 세계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3. 1. 다양한 기법과 주제
인상주의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지만, 드가 자신은 사실주의자로 불리기를 더 선호했다.[103] 그는 다른 많은 인상주의 화가들과 달리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 드가는 뛰어난 데생 실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특히 무용수들의 무대나 목욕하는 여성의 누드화에서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발레 무용수나 목욕하는 여성 외에도 경주마와 기수, 그리고 초상화도 즐겨 그렸다. 그의 초상화는 인간의 복잡한 내면 심리와 외로움을 섬세하게 묘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04]활동 초기에는 역사화가가 되기를 꿈꾸며 미술학교에서 엄격한 훈련과 연구를 통해 실력을 쌓았다. 그러나 30대 초반에 방향을 바꾸어, 역사화의 전통적인 기법을 당대의 일상적인 주제에 적용하며 근대 생활을 그리는 화가로 자리매김했다.[105]
초기 화풍은 《보나의 초상》, 《꽃을 든 여인》, 《이오 부인》 같은 고전적인 초상화에서 시작되었다. 점차 무용, 극장 등 근대적인 서민 생활을 묘사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그는 움직이는 대상의 순간적인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독자적인 기법을 개발했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대상을 관찰하여 정확한 데생과 풍부한 색감으로 표현했다. 특히 무용수를 모델로 한 작품이 많아 '무용의 화가'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발레 수업》, 《국화 옆의 여인》 등이 있다.
3. 2. 인상주의, 사실주의, 고전주의의 융합
드가는 인상주의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지만[103], 스스로는 사실주의자로 불리기를 더 선호했다.[103] 그는 고전주의적인 엄격한 미술 교육을 받았고, 옛 거장들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다.[39][40] 이러한 배경 속에서 드가는 인상주의, 사실주의, 고전주의의 요소들을 독자적으로 융합하여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활동 초기에 드가는 역사화가가 되기를 목표로 삼고 미술학교에서의 엄격한 훈련과 연구를 통해 실력을 쌓았다.[105] 그는 앵그르와 들라크루아를 크게 존경했으며,[40] 중년까지도 옛 거장들의 작품을 열렬히 모사했다.[39] 초기 작품인 《보나의 초상》, 《꽃을 든 여인》, 《이오 부인》 등은 고전적인 화풍을 보여준다. 《벨렐리 가족》(1858–1867년경)[40]이나 《젊은 스파르타인들의 훈련》(1860–1862년경)[40] 같은 초기 작품에서는 이미 인물에 대한 덜 이상화된 묘사와 남녀 간의 긴장감에 대한 관심이 드러난다.[41] 초기 그림들에서 드가는 주제를 어색하게 자르거나 특이한 시점을 선택하는 등, 훗날 더욱 발전시킬 성숙한 화풍의 징조를 이미 보여주었다.[42]

30대 초반, 드가는 역사화가의 길에서 벗어나 근대 생활의 모습을 그리는 화가로 방향을 바꾸었다.[105] 그는 쿠르베[34], 도미에, 가바르니[40]와 같은 화가들의 활기찬 사실주의와 일본 판화의 구성 원칙에서도 영향을 받았다.[40] 1860년대 후반부터는 경마장의 말과 기수, 모자 장식공, 세탁부 등 현대 파리 생활의 단면과 일하는 여성들을 주제로 삼기 시작했다.[43] 그의 초상화는 인물의 복잡한 심리와 외로움을 포착하는 데 뛰어났다.[104]

드가는 1874년부터 열린 인상주의 전시회에 참여하는 등 인상주의 운동의 주요 구성원이었지만, 다른 인상주의 화가들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인상주의는 1860년대와 1870년대에 쿠르베와 코로 같은 화가들의 사실주의에서 부분적으로 발전했으며, 밝은 색채를 사용하여 빛의 효과와 순간적인 시각 경험을 포착하려 했다.[34] 하지만 드가는 많은 인상주의자들이 선호했던 야외 사생을 하지 않았고[103] 오히려 이를 끊임없이 비판했다.[35]
야외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에 대해 제 생각을 아십니까? 제가 정부라면 자연에서 풍경을 그리는 예술가들을 감시하는 특별한 헌병 부대를 두겠습니다. 아, 누군가를 죽이려는 것은 아닙니다. 경고로 가끔씩 새총으로 약간의 탄환을 쏘는 정도입니다.[36]
미술사가 캐롤 암스트롱에 따르면, 드가는 "전시회를 평론한 비평가들만큼 인상주의에 반대하는 경우가 많았다."[37] 드가 자신도 "제 그림만큼 자연스럽지 않은 예술은 없었습니다. 제가 하는 일은 사색과 거장들의 연구의 결과입니다. 영감, 자발성, 기질, 저는 아무것도 모릅니다."라고 말하며 인상주의의 즉흥성과는 거리를 두었다.[37]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 생활 장면, 중심에서 벗어난 대담한 구도, 색채와 형태에 대한 실험, 메리 카사트나 마네와 같은 인상파 예술가들과의 교류[38] 등은 그를 인상주의 운동과 밀접하게 연결시킨다.

드가는 고전주의에서 익힌 뛰어난 데생 능력[104]을 바탕으로 움직이는 대상의 순간적인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데 독자적인 수법을 발전시켰다. 특히 발레 무용수들의 무대나 목욕하는 여성의 누드화에서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난다.[104] 그는 다양한 시점에서 대상을 관찰하며 정확한 데생과 풍부한 색감을 표현했다. '무용의 화가'라는 별명처럼 무희를 모델로 한 작품이 많으며, 1868년 살롱에 출품된 ''발레극 <라 쑤르스>의 피오크레 양''은 그가 발레를 주제로 그린 첫 주요 작품이었다.[44] 이후 많은 작품에서 무용수들은 무대 뒤나 리허설 장면으로 그려져 직업적인 전문가로서의 모습이 강조되었다. 《발레 수업》[44], 《국화 옆의 여인》 등이 대표적이다.

1870년대 이후, 드가는 가족의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잘 팔리는 발레 주제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다.[45] 이 시기 그의 기법에도 변화가 나타나, 초기 네덜란드 회화풍의 어두운 색채 대신 생생한 색과 대담한 붓질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콩코르드 광장》[38] 같은 그림은 마치 스냅사진처럼 순간을 포착하고 움직임을 전달하려는 시도로 읽히며, 이는 당시 새롭게 등장한 사진 기술에 대한 관심과도 연관이 있다.[38] 《오페라의 오케스트라》(1870년경)에서는 친구인 바순 연주자 데지레 디오를 포함한 오케스트라 단원들을 관객의 시점에서 그린 듯 묘사하고, 무대 위 무용수들의 다리만 보이도록 잘라내어 움직임과 무작위적인 시선에 대한 그의 관심을 보여준다.[48] 그는 또한 카페 생활을 그린 L'Absinthe|압생트프랑스어나 ''장갑을 낀 가수'' 같은 작품을 남겼고, 때로는 ''실내''(일명 ''강간'')처럼 서술적 내용이 모호하여 매춘의 묘사[47]나 에밀 졸라의 소설 ''테레즈 라캥''[46]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해석을 낳는 작품도 그렸다.


드가의 초상화나 풍속화는 인물의 사회적 신분이나 직업이 외형, 자세, 복장 등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탐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1879년 작 ''증권거래소에서''는 유대인 사업가 집단을 묘사하며 반유대주의적 시각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1881년에는 살인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소년 갱단원들을 그린 두 점의 파스텔화 ''범죄적 골상학''을 전시했는데, 이는 드가가 재판에 직접 참석하여 스케치한 것으로, 타고난 범죄성을 외모로 판단하려 했던 19세기 골상학 및 격세유전 이론에 대한 그의 관심을 보여준다.[51] 무용수 그림에서는 운동으로 단련된 신체를, 세탁부 그림에서는 고된 노동으로 다져진 육중한 체형을 묘사하여 직업적 특징을 신체적으로 드러냈다.[52]
1870년대 후반부터 드가는 유채 외에도 파스텔을 주요 매체로 능숙하게 다루었다.[53] 파스텔은 그의 뛰어난 선 표현 능력과 점차 커지는 색채에 대한 관심을 조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에칭, 석판화, 모노타이프 등 다양한 판화 기법을 실험했으며[54], 1870년대 중반부터 1890년대 초까지 약 300점의 모노타이프를 제작하고 파스텔로 덧칠하는 작업을 즐겼다.[55][54] 1880년까지 조각은 드가가 다양한 매체를 탐구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또 다른 한 가닥이 되었지만, 예술가는 그의 생애 동안 단 한 점의 조각만 공개적으로 전시했다.[56]

매체의 변화는 드가가 후기에 제작할 그림들을 만들어냈다. 드가는 수건으로 몸을 말리고, 머리카락을 빗고, 목욕하는 여성을 그리기 시작했다(참조: ''목욕 후, 몸을 말리는 여자''). 형태를 모델링하는 획은 이전보다 더 자유롭게 휘갈겨졌고 배경은 단순화되었다.[57]
그의 젊은 시절의 세심한 자연주의는 형태의 점진적인 추상화로 바뀌었다. 그의 특징적으로 뛰어난 드로잉 실력과 인물에 대한 집착을 제외하고, 그의 생애 후기에 만들어진 그림들은 초기 그림과 표면적으로 거의 닮지 않았다. 사실상, 그의 생애 후반과 인상파 운동의 전성기 이후에 만들어진 이 그림들은 인상주의의 색채 기법을 가장 생생하게 사용한다.[58][59]
모든 양식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드가 작품의 특정 특징은 그의 평생 동안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그는 항상 실내에서 그림을 그렸고, 기억, 사진 또는 살아있는 모델로부터 그의 화실에서 작업하는 것을 선호했다.[60] 인물이 그의 주요 주제로 남았다. 그의 몇 안 되는 풍경화는 기억이나 상상으로 만들어졌다. 그가 주제를 여러 번 반복하여 구성이나 처리 방식을 다르게 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그는 앤드류 포지가 쓴 것처럼 "준비되고, 계산되고, 연습되고, 단계적으로 발전된" 작품을 만든 신중한 예술가였다. "그것들은 부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부분과 전체의 조정, 선형 배열은 무한한 사색과 실험의 계기가 되었습니다."[61] 드가는 "예술에서 움직임조차도 우연처럼 보여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그림의 프레젠테이션에 가장 관심이 많았고, 피에르 클뤼젤을 액자 제작자로 후원했으며, 당시의 화려한 스타일을 싫어하여 종종 구매 조건으로 액자 선택을 고집했다.[62]
3. 3. 사진의 영향
(섹션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이 없습니다.)4. 주요 작품
''Le Bureau de coton à la Nouvelle-Orléans'']]
- 『다림질하는 두 여자』(1884년부터 1886년경)(오르세 미술관)
- 『마네와 마네 부인상』(1868년부터 1869년)(북큐슈시립미술관)
- 『승마 산책』(1864년부터 1868년)(히로시마 미술관)
- 『빨간 옷을 입은 세 명의 무희』(1896년)(오하라 미술관)
- 『앞발을 드는 말』(말 박물관)[101]
- 『머리를 빗는 여인』(1890년부터 1892년경)(오르세 미술관)[102]
4. 1. 회화
인상주의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지만, 드가 자신은 사실주의자로 불리기를 더 선호했다.[103] 그는 많은 인상주의 화가들과 달리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 드가는 뛰어난 데생 실력을 갖추었으며, 특히 무용수들의 무대나 목욕하는 여성의 누드화에서 볼 수 있듯이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발레 무용수나 목욕하는 여성 외에도 경주마와 기수, 그리고 초상화도 그의 주요 소재였다. 그의 초상화는 인간의 복잡한 내면 심리와 외로움을 섬세하게 묘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04]활동 초기, 드가는 역사화가가 되기를 꿈꿨다. 이를 위해 미술학교에서 엄격한 훈련을 받고 면밀한 연구를 통해 역사화를 그릴 준비를 했다. 그러나 30대 초반에 이르러 그는 방향을 바꾸어, 역사화가의 전통적인 기법을 당대의 주제에 적용하며 근대 생활을 그리는 화가로 자리매김했다.[105]
프랑스 파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주로 발레 무용수와 경주마를 작품 소재로 삼았다. 그의 작품은 인상주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고전주의와 사실주의적 색채를 띠거나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도 존재한다. 루이 르 그랑 중등학교를 졸업하고 파리 대학 법학부에 입학했으나 학업을 중단하고, 1855년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제자였던 루이 라모트의 소개로 국립미술학교에 들어갔다. 루브르 박물관을 자주 드나들며 옛 거장들의 그림을 익혔다. 1856년부터 약 1년간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르네상스 거장들, 특히 기를란다요와 만테냐의 작품을 배웠고, 니콜라 푸생과 한스 홀바인의 그림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1865년 살롱에 《오르레앙 시의 불행》을 출품했으며,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후에는 인상파 전람회에 참여하기도 했으나 점차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106]
1870년대 전반기에는 자신이 선호하는 두 가지 주제, 즉 오페라 극장(특히 발레리나)과 롱샴 경마장의 경주에 집중하기 시작했다.[107] 1872년에는 어머니의 고향인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를 방문하여 미국의 역동적인 모습을 목격했다. 1873년 파리로 돌아와 인상주의 화가들과 본격적으로 교류했다. 말년에는 지병인 눈병이 악화되어 시력을 거의 잃게 되면서 주로 조각 작업에 몰두했다. 어린 시절 어머니의 외도를 목격한 상처는 그가 평생 여성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갖게 했고, 이는 그가 독신으로 지낸 한 원인이 되었다. 초기에는 정적인 인물화를 주로 그렸으나, 후기로 갈수록 일상생활 속 인물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포착하는 그림을 그렸다.
초기 화풍은 《보나의 초상》, 《꽃을 든 여인》, 《이오 부인》 같은 고전적인 초상화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무용, 극장 등 근대 도시 생활의 단면을 묘사하기 시작했다. 그는 움직이는 대상의 순간적인 아름다움을 포착하여 그리는 독자적인 기법을 발전시켰다. 특히, 다양한 각도에서 대상을 관찰하며 정확한 데생과 풍부한 색감을 표현하는 데 뛰어났다. 무희를 모델로 한 작품이 많아 '무용의 화가'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주요 작품으로 《발레 수업》, 《국화 옆의 여인》 등이 있다.
드가의 작품에는 발레를 소재로 한 그림이 많은데, 특히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탈의실이나 연습 풍경, 무대 뒤편의 모습 등을 자주 그렸다. 당시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무용수들은 '오페라 극장의 작은 쥐'(Petit rat)라 불렸는데, 드가는 그녀들의 무대 뒤 일상을 꾸밈없이 화폭에 담았다. 은행가의 아들로 부유한 환경에서 자란 드가는 발레 애호가로서 오페라 극장의 정기 회원이었다. 연간 좌석을 구매하는 정기 회원에게는 오페라 극장의 탈의실과 연습실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특권이 주어졌다(이 특권은 20세기 중반에 폐지되었다). 당시 오페라 극장은 상류층의 사교 장소이기도 했으므로, 부친 사망 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드가는 정기 회원 자격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가 그린 발레 그림의 대부분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96]
드가가 활동하던 시기는 클래식 발레나 모던 발레가 프랑스에 아직 소개되기 전으로, 낭만 발레가 주류를 이루던 시대였다. 따라서 드가 작품 속 발레 풍경은 모두 당시 유행하던 낭만 발레의 모습이다.[96]
파리 오페라 극장 측에서도 드가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미로, 그가 1881년에 발표한 조각 작품 "14세의 작은 무용수"를 모티브로 한 발레 작품을 제작하여 2003년, 드가가 자주 드나들었던 가르니에 궁(당시의 "오페라 극장")에서 초연했다.[97][98]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주요 작품들이 있다.
- 『다림질하는 두 여자』 (1884년부터 1886년경) (오르세 미술관)
- 『마네와 마네 부인상』 (1868년부터 1869년) (북큐슈시립미술관)
- 『승마 산책』 (1864년부터 1868년) (히로시마 미술관)
- 『빨간 옷을 입은 세 명의 무희』 (1896년) (오하라 미술관)
- 『앞발을 드는 말』 (말 박물관)[101]
- 『머리를 빗는 여인』 (1890년부터 1892년경) (오르세 미술관)[102]
4. 2. 조각

드가의 조각 작품 중 생전에 공개된 것은 1881년에 전시된 ''열네 살의 어린 무용수''가 유일하다. 이 작품은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과 천으로 만든 튜튜를 입힌 거의 실물 크기의 밀랍 인형이었는데, 공개 당시 비평가들로부터 강한 반응을 얻었다.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작품의 극사실성에 놀라움을 표하면서도, 무용수의 모습이 추하다고 비난했다.[64] 반면, 작가 J.-K. 위스망은 "이 조각상의 끔찍한 현실성은 관객들에게 불안감을 준다. 조각에 대한 기존의 차갑고 생명 없는 하얀 이미지 개념이 여기서 뒤집힌다. 사실 드가는 그의 첫 시도로 회화의 관습을 흔들었던 것처럼 조각의 전통을 혁신했다"라고 평하며 작품의 혁신성을 높이 평가했다.[63]
드가는 40여 년에 걸쳐 많은 조각 작품을 만들었지만, 1918년 그가 세상을 떠난 후 열린 전시회 이전까지는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다.[64] 그의 조각 작품들은 생전에 청동으로 주조되지 않았다. 드가 연구가들은 그의 조각이 단순히 회화를 위한 보조 수단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데 동의한다. 드가는 회화, 드로잉, 파스텔화뿐만 아니라 조각과 사진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탐구했다. 그는 조각을 드로잉만큼 중요하게 여겼으며, "드로잉이 사고의 한 방식이라면, 모델링은 또 다른 방식이다"라고 말했다.
드가가 사망한 후, 그의 상속인들은 작업실에서 150점의 밀랍 조각을 발견했는데, 이 중 상당수가 손상된 상태였다. 상속인들은 주조업자 아드리앙 에브라르와 상의했고, 에브라르는 74점의 밀랍 조각을 청동으로 주조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열네 살의 어린 무용수''를 제외하고 현재 전 세계에 퍼져 있는 드가의 청동 조각들은 모두 surmoulages프랑스어(즉, 청동 원형에서 다시 주조하는 방식)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방식으로 제작된 청동 조각은 원래의 청동 주형으로 만든 것보다 크기가 약간 작고 표면의 세밀함이 덜하다. 에브라르 주조소는 1919년부터 1936년까지 청동 조각들을 주조했으며, 에브라르가 사망하기 직전인 1937년에 문을 닫았다.
2004년에는 드가의 원본 밀랍 조각과 유사한 73점의 거의 알려지지 않은 석고 주조품이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석고들은 에브라르의 후손으로부터 에란도르 주조소(후에 에란도르-발수아니로 알려짐)가 사들인 자료들 속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 석고를 바탕으로 주조된 청동 작품들은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에란도르-발수아니에 의해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판본으로 발행되었다. 그러나 이 석고들의 진위 여부와 제작 시기 및 상황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란이 있다.[64][65] 일부 박물관과 학계 전문가들은 이 석고들을 진품으로 받아들이는 반면, 대부분의 저명한 드가 학자들은 이에 대한 언급을 피하고 있다.[66][67]
5. 논란
"예술가는 홀로 살아야 하며, 그의 사생활은 알려져서는 안 된다"고 믿었던 드가는[68] 외견상으로는 평범한 삶을 살았다. 사교 모임에서는 그의 재치 있는 말솜씨로 유명했지만, 종종 잔인할 정도로 날카로웠다. 소설가 조지 무어는 그를 "구시대적인 괴팍한 사람"으로 묘사했고,[68] 그는 고의적으로 독신으로서의 염세적인 이미지를 만들어갔다.
5. 1. 여성 혐오
드가는 어린 시절 어머니의 외도와 불륜을 목격한 경험으로 인해 여성을 혐오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평생 독신으로 살게 된 주요 원인이 되었다.5. 2. 반유대주의
1870년대에 드가는 공화주의 성향의 레옹 감베타 측근으로 여겨졌으나,[69] 그의 성향은 단순하지 않았고 때때로 편견과 과민함을 드러냈다. 예를 들어, 그는 한 모델이 프로테스탄트라는 이유로 해고하기도 했다.[68]
드가는 1865년부터 1870년까지 여러 유대인 인물을 그렸지만, 1879년 작품 ''주식거래소의 초상화''는 그의 정치적 견해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 그림은 유대인 은행가 어니스트 메이(Ernest May)의 초상화인데, 메이가 의뢰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첫 소유자로 추정된다. 현대 전문가들은 이 그림을 반유대주의적이라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림 속 은행가의 옆모습 특징은 당시 파리에서 유행하던 반유대주의 만화 속 인물들과 비교되었고, 배경 인물들은 드가의 초기 작품 ''범죄자의 얼굴 생김새''와 유사하다는 지적도 있다.[70][71]
1890년대부터 1900년대 초까지 파리를 뒤흔든 드레퓌스 사건은 그의 반유대주의 성향을 더욱 강화시켰다. 1890년대 중반 무렵, 그는 모든 유대인 친구들과 관계를 끊었고,[29] 과거 유대인 예술가들과의 친분을 공개적으로 부인했으며, 유대인으로 추정되는 모델 사용을 거부했다. 그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노골적인 반유대주의자이자 "반드레퓌스주의자"로 남았다.[72]
6. 유산
생전에 드가의 작품에 대한 대중의 반응은 찬사에서 멸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전통적인 방식의 유망한 예술가였던 드가는 1865년부터 1870년 사이에 살롱에 여러 점의 그림을 출품하여 인정을 받았다. 이 작품들은 피에르 퓌비스 드 샤반느와 비평가 쥘-앙투안 카스타냐리로부터 칭찬을 받았다.[73] 그러나 그는 곧 인상파 화가들과 힘을 합치고 살롱의 엄격한 규칙과 판단을 거부했다.[23]
드가의 작품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그의 드로잉 실력에 대해서는 찬사를 받았다. 1881년 여섯 번째 인상파 전시회에서 전시한 그의 ''14세의 어린 무용수''(La Petite Danseuse de Quatorze Ans프랑스어)는 아마도 가장 논란이 많은 작품이었을 것이다. 일부 비평가들은 그것을 "끔찍한 추함"이라고 비난했지만, 다른 비평가들은 그 속에서 "만개"를 보았다.[74]
부분적으로 드가의 독창성은 고전 조각의 매끄럽고 꽉 찬 표면과 윤곽을 무시하는 것… 그리고 그의 작은 조각상을 인형의 장식처럼 실제 머리카락과 실제 크기의 옷으로 장식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비교적 "실제적인" 추가 요소는 환상을 더욱 높였지만, 예술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와 같은 심오한 질문을 제기하기도 했다.[75]
드가가 1886년 여덟 번째 인상파 전시회에서 출품한 누드를 묘사한 파스텔 연작은 "그의 생애 동안 그에 대한 가장 집중적인 비평 글들을 만들어냈다… 전반적인 반응은 긍정적이고 칭찬 일색이었다".[76]
생전에 중요한 예술가로 인정받은 드가는 현재 "인상주의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77] 그의 작품이 많은 스타일의 경계를 넘나들었지만, 다른 주요 인상파 화가들과의 교류와 그들의 전시회 참여, 일상생활과 활동을 역동적으로 그린 그림과 스케치, 그리고 대담한 색채 실험은 결국 그를 인상주의 운동의 가장 위대한 예술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38]
드가에게 정식으로 사사한 제자는 없었지만, 그는 여러 중요한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장-루이 포랭, 메리 카사트, 그리고 월터 시커트가 대표적이다.[78] 그의 가장 열렬한 숭배자는 아마도 앙리 드 툴루즈-로트렉이었을 것이다.[57]
드가의 그림, 파스텔, 드로잉, 조각은 많은 미술관에 주요 전시물로 전시되어 있으며, 여러 미술관 전시회와 회고전의 주제가 되어 왔다. 최근 주요 전시회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전시명 | 장소 |
---|---|---|
2010 | 드가: 드로잉과 스케치북 | 모건 도서관 |
2010 | 피카소가 본 드가 | 피카소 미술관 (바르셀로나) |
2011 | 드가와 누드 | 보스턴 미술관 |
2013 | 드가의 기법 | 뉴 칼스버그 글립토테크 |
2014 | 드가의 어린 무용수 | 국립미술관 (워싱턴 D.C.) |
2017–2018 | 드가: 완벽에 대한 열정 | 휘트윔 미술관 (캠브리지)[79] |
2023 | 마네/드가 | 오르세 미술관[80] |
2023–2024 | 마네/드가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81] |
참조
[1]
서적
Pronouncing Dictionary of Proper Names
https://archive.org/[...]
Omnigraphics, Inc.
[2]
LPD
[3]
잡지
Degas and His Dancers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03-04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Degas and the Business of Art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14-09-29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웹사이트
Le château en vente pour 7 millions d'euros
https://www.ouest-fr[...]
2013-02-23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웹사이트
Michael Musson and Odile Longer: Degas' aunt and uncle in New Orleans
http://www.degaslega[...]
Degaslegacy.com
2013-03-18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Degas: an intimate portrait
https://archive.org/[...]
Crown
1937
[37]
서적
1991
[38]
서적
1983
[39]
서적
1994
[40]
서적
1994
[41]
서적
2011
[42]
서적
1988
[43]
논문
Ceci n'est pas un chapeau: What is Art and what is Fashion in Degas's Millinery Series?
2022
[44]
서적
1988
[45]
서적
1992
[46]
서적
1976
[47]
서적
2007
[48]
서적
1985
[49]
서적
1985
[50]
서적
1985
[51]
서적
Degas and The Little Danc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8
[52]
서적
1979
[53]
서적
1996
[54]
서적
1988
[55]
웹사이트
Degas: A Strange New Beauty
http://www.cosmopoli[...]
2023-04-00
[56]
서적
1985
[57]
서적
1985
[58]
서적
1994
[59]
서적
Edgar-Hilaire Germain Degas
https://archive.org/[...]
H.N. Abrams
1952
[60]
서적
Style.
[61]
서적
1988
[62]
뉴스
Framing Degas: The French painter Edgar Degas was Impressionism's most energetic and inventive frame designer
https://daily.jstor.[...]
JSTOR Daily
2022-10-16
[63]
서적
1988
[64]
뉴스
A Controversy over Degas
http://www.artnews.c[...]
Artnews
2010-04-01
[65]
뉴스
Brass Foundry Is Closing, but Debate Over Degas's Work Goes 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04-04
[66]
웹사이트
Degas bronzes controversy leads to scholars' boycott
http://www.theartnew[...]
The Art Newspaper
2012-05-31
[67]
웹사이트
Shaky Degas Dancer Gets the Silent Treatment
http://www.bloomberg[...]
Bloomberg View
2011-08-22
[68]
서적
1969
[69]
서적
The Republican Moment: Struggles for Democracy in Nineteenth-century Franc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70]
웹사이트
http://blogs.princet[...]
[71]
논문
Odd Man Out: Readings of the Work and Reputation of Edgar Degas
http://dx.doi.org/10[...]
1993-03-01
[72]
서적
Politics of Vision: Essays on 19th Century Art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73]
서적
Bowness 1965
[74]
서적
Muehlig 1979
[75]
서적
Guillaud and Guillaud 1985
[76]
서적
Thomson 1988
[77]
서적
Mannering 1994
[78]
기관
J. Paul Getty Trust
[79]
웹사이트
Degas: A passion for perfection
http://www.fitzmuseu[...]
2017-11-23
[80]
웹사이트
Exhibition Manet / Degas | Musée d'Orsay
http://www.musee-ors[...]
[81]
웹사이트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82]
웹사이트
The Portraits
https://npg.si.edu/p[...]
2015-08-21
[83]
간행물
Mary Cassatt: an American Observer: a loan exhibition for the benefit of the American Wing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Oct. 3–27, 1984
Coe Kerr Gallery
1984
[84]
서적
MoMA Highlights: 350 Works from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85]
서적
Gordon and Forge 1988
[86]
웹사이트
Degas and Cassatt: The Untold Story of Their Artistic Friendship
http://www.artnews.c[...]
ARTnews
[87]
서적
Baumann, et al. 1994
[88]
뉴스
History's new verdict on the Dreyfus case
https://www.latimes.[...]
2006-07-09
[89]
서적
Lettres de Degas
Editions Bernard Grasset
1945
[90]
서적
The Dream Collector, Book 1, Sabrine & Sigmund Freud
Historium Press
2023
[91]
뉴스
'It's a very rich story': the complicated connection between Manet and Degas
https://www.theguard[...]
2023-10-02
[92]
웹사이트
Manet/Degas
https://brooklynrail[...]
2023-11-01
[93]
잡지
原田マハの、泣ける! 印象派物語
新潮社
2018-06
[94]
서적
北斎とドガ
全国書房
[95]
웹사이트
ドガの作品「ロシアの踊り子たち」を「ウクライナの踊り子たち」に変更「題材をより的確に反映」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04-06
[96]
서적
魅惑のドガ エトワール物語
[97]
서적
魅惑のドガ エトワール物語
[98]
서적
魅惑のドガ エトワール物語
[99]
서적
中野京子と読み解く 名画の謎 対決篇
文藝春秋
[100]
전시회 카탈로그
ドガ展
伊勢丹美術館
1881
[101]
잡지
[102]
서적
岩波 世界の巨匠 ドガ
岩波書店
1994-04-22
[103]
서적
Gordon and Forge 1988
[104]
서적
Turner 2000
[105]
서적
Turner 2000
[106]
서적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107]
서적
천년의 그림여행 p2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